폰테크 사라진 양말한 짝 루시아나 데 루카 지음·줄리아 파스토리노 그림 | 문주선 옮김 | 여유당 | 40쪽 | 1만7000원
빨래를 하고 나면 양말 하나 홀로 남을 때가 있다. 집 구석구석을 찾아도 사라진 한 짝은 찾을 수 없다. 그리고 여기, 태어날 때부터 함께였던 양말 알록이와 달록이가 있다. 이
탐정사무소 둘의 생이별도 어느 날 세탁기 속에서 갑작스레 찾아왔다.
달록이는 새카맣고 구불구불한 터널을 떠내려가던 중 눈을 뜬다. 알 수 없는 진녹색 이물질, 시커멓고 징그러운 털 뭉치 옆에서 하염없이 알록이를 찾는다. 혼자가 된 가엾은 존재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지 궁금해진다.
강을 건너고 바다에도 휘말린 달록이는 몸과 마음이 모두 지쳤다. 검은색 땅, 고여서 썩은 듯한 어두운 강물, 쓰레기가 둥둥 떠다니는 탁한 바다가 그려진 삽화를 넘길 때마다 달록이의 좌절과 슬픔이 함께 느껴진다. 달록이가 더 이상 알록이를 찾는 목소리마저 낼 수 없을 때, 어느 섬에 도착한다.
그곳엔 짝을 잃고 홀로 남은 양말들이 가득하다. 붉은 하트 무늬 양말, 푸른 별이 박힌 양말… 이들 중엔 요리사도 있고 우체부도 있고 또 커플도 있으며 홀로 즐겁게 살아가는 양말들도 있다. 이곳에서 달록이도 온전한 삶을 되찾는다. 줄리아 파스토리노는 혼자라도 밝게 빛나는 형형색색의 양말들을 앙증맞게 그려냈다. 부드럽고 둥근 선, 화사하면서 따뜻한 색감은 책장을 넘기는 손끝에 여운을 남긴다.
아르헨티나 작가 루시아나 데 루카는 짝 잃은 양말들이 서로 기대어 만드는 행복한 일상을 이야기한다. 평생 하나뿐이라고 생각했던 짝을 잃었다고 삶이 무너지는 것은 아니며, 그 상실의 빈자리 또한 나를 이해하는 친구들과 함께라면 언젠가 메워진다는 희망도 전한다.
홀로서기에 성공한 달록이는 이제 섬에 도착한 새 친구를 맞이할 준비를 한다. 달록이가 만날 또 다른 양말은 누구일까. 마지막 장을 덮을 때까지 그 만남을 향한 기대와 설렘이 이어진다.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단지(G밸리) 출·퇴근길이 편해질 전망이다.
금천구가 G밸리 디지털3단지 일대의 전반적인 교통체계 개선을 위한 교통 인프라 정비 공사를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출퇴근 시간대 상습 정체 완화·원활한 차량 흐름 확보·보행자 안전 강화·지하철 이용자 편의 증진 등 다양한 요소를 반영한 교통 인프라 개선을 목표로 진행한다.
구에 따르면 디지털산업단지는 첨단산업단지로 조성됐으나 도로 폭과 차선 수가 제각각이다. 다수의 건물 진출입구가 분산돼 있고, 외부에서 단지로 진·출입할 수 있는 경로도 제한돼 출퇴근 시간마다 극심한 차량 정체가 반복되고 있다.
이에 구는 단지 내부뿐 아니라 외곽 진출입 차량 흐름 개선을 위해 서울시와 협업해 대책을 추진중이다. 지난 7월 골드리버호텔 앞 도로에서 서부간선도로로 바로 연결되는 교차로를 개통한데 이어, 서울도시고속도로 인근 교차로도 연내 추가 개통할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수출 다리 일대 교통체계 개선과 두산길 지하차도 신설 등 외곽 진출입 경로를 다변화 할 방침이다.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 개발과 연계한 광역교통개선대책도 추진된다. 우회 도로망을 구축해 디지털단지를 거치지 않고도 통행할 수 있는 교통체계를 만들기 위한 조치다.
유성훈 금천구청장은 G밸리는 서울 서남권 첨단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교통 인프라 개선은 기업과 구민 모두를 위한 필수 과제라며 교통환경 개선을 통해 쾌적하고 효율적인 경제활동 기반을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질긴 매듭
‘모계전승’을 화두로 두고 엮은 소설집. 첫딸이 딸을 낳지 않으면 엄마가 죽는다는 집안의 저주를 통해 아이를 낳을 수 있는 몸을 신성시하는 사회에 대한 반발을 담은 정보라의 ‘엄마의 마음’ 등 5편이 담겼다. 배미주·정보라·길상효·구한나리·오정연 지음. 사계절. 1만6000원
▲행복한 시간들
철학과 시의 향기가 배인 유려한 문장으로 유명한 프랑스 작가 파스칼 키냐르의 에세이다. 작가가 ‘몇권이 될지 모르나 죽을 때까지 계속 쓰겠다’고 말한 ‘마지막 왕국’ 시리즈의 열두 번째 작품. 회귀하는 자연에 대한 행복을 다룬다. 파스칼 키냐르 지음. 송의경 옮김. 문학과지성사. 1만9000원
▲플레인워터
현대문학의 경계를 새롭게 쓰고 있는 저자의 초기 대표작 중 하나다. 물은 당신이 붙잡을 수 없는 무언가다라는 시인의 말처럼, 책 안에서 모든 것은 불확정적이다. 시와 산문의 경계를 허물고 ‘알 수 있음’과 ‘알 수 없음’의 경계를 집요히 탐구한다. 앤 카슨 지음. 황유원 옮김. 난다. 2만3000원
▲블랙 인페르노
거대한 절벽을 마주한 한 인간의 여성, 어머니로서의 투쟁을 보여주는 서스펜스 스릴러. 가상현실과 인공지능의 자기학습 기술을 더해 미스터리의 복잡성을 높인다. 영화감독 연상호가 원작자로 참여했다. 오성은 지음. 연상호·류용재 원작. 와우포인트 퍼블리싱. 1만7000원
▲블루엣
색깔과 사랑에 빠졌다고 말하면서 시작하면 어떨까는 책은 ‘파란색’이라는 색채에 대한 애착을 출발점 삼아 사랑과 상실, 욕망과 우울, 젠더와 예술을 탐구한다. 저자는 전미 도서 비평가 협회상 등을 수상한 미국 현대문학의 대표 작가다. 매기 넬슨 지음. 김선형 옮김. 문학동네. 1만6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