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테크 이마트, 인천 한상드림아일랜드에 SSG랜더스 2군 야구장 조성

폰테크 이마트, 인천 한상드림아일랜드에 SSG랜더스 2군 야구장 조성

또또링2 0 2 03:56
폰테크 해양수산부가 대규모 외국자본 유치를 명분으로 추진한 한상아일랜드에 프로야구단 SSG랜더스 2군 야구장이 조성된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은 이마트가 공매로 나온 한상드림아일랜드 유원지 부지 8만1087㎡를 지난 6월 367억1000만원에 낙찰받았다고 15일 밝혔다.
이마트 측은 한상드림아일랜드는 2028년 개장하는 서구 청라돔구장·스타필드와 차량으로 10분 거리에 있다며 SSG랜더스 2군 야구장 등 운동시설과 시민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주민 친화 공간을 조성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내 최초로 민간 재개발 방식으로 추진 중인 한상드림아일랜드는 전체 부지 333만㎡로, 여의도 면적의 1.1배이다. 2019년 3월 착공해 지난해 3월 준공됐다.
이번 이마트 투자로 전체 매각 용지 154만㎡ 중 골프장 116만㎡, 수변상업시설 1만1004㎡, 유원지 8만3062㎡ 등 138만㎡가 분양됐다. 나머지 숙박시설과 근린생활시설, 의료관광시설, 골프빌리지 등은 공매가 진해 중이다.
허 의원은 지난 5월 골프장이 발기부전치료제구매 개장하고, 공항고속도로 한상IC가 개통된 데 이어 영종과 청라를 잇는 제3연륙교 개통을 앞둔 상황에서 대기업의 투자 참여는 토지 분양 활성화에 탄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해수부가 대규모 해외자본 유치를 명분으로 추진한 한상아일랜드에는 ‘베르힐 영종 골프클럽(CC)’ 뿐이다.
해수부는 2014년 일본의 한창우 마루한 그룹회장 등이 주축인 세계한상드림아일랜드가 2조321억원을 들여 워터파크, 아쿠아리움, 특급호텔, 복합 쇼핑몰 등 해양문화관광지구와 교육연구지구를 2021년까지 조성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11년 만에 개장한 것은 전체 부지의 절반인 49.6%에 조성된 골프장뿐이다.
특히 한상아일랜드 사실상 ‘파산’ 단계이다. 한상아일랜드는 최근 기한이익상실(EOD)이 발생했다. 기한이익상실은 차주가 돈을 갚지 않아 금융사가 대출금을 만기 전 회수하는 것을 말한다. 은행 등 채권자들은 한상아일랜드 분양용 토지를 공매로 내놓은 것이다.
올여름 기록적인 폭염은 계절적인 기상변화가 아닌 기후변화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6~8월 가운데 절반 이상의 기간이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국제 비영리 기후 분석기관 ‘클라이밋 센트럴’은 17일 이런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클라이밋 센트럴은 매년 여름과 겨울 두 차례 기후변화가 기상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발표한다. 올해는 유럽중기예보센터와 미항공우주국 자료를 활용해 여름철 계절 평균 기온을 1990년대(1991~2000년)와 비교했다. 올해 한국의 여름철 평균기온은 1990년대와 비해 1.9도 높았다. 앞서 기상청은 올해 여름철 평균기온이 25.7도로 지난해(25.6도)를 앞질러 역대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6~8월 여름 기간 92일 중 53일은 ‘기후전환지수’ 2레벨 이상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기후전환지수는 클라이밋 센트럴이 기상 현상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0에서 5까지 나눈 지표다. 여름철 한국의 폭염 발생일의 기후전환지수가 2레벨 이상이라면, 기후변화가 이날의 폭염 발생 가능성을 2배 이상 높였다는 뜻이다. 보고서는 도시별로 여름철 기온 변화도 살폈다. 경기 수원과 대구의 여름철 기온은 1990년대 대비 2.1도 높았고, 서울은 1.9도 높았다. 여름철 3개월 중 기후전환지수가 2레벨 이상인 일수는 광주(63일)가 가장 많았고, 인천(59일), 서울(54일) 순이었다.
세계적으로도 기후변화 영향은 두드러졌다. 올여름철 하루 평균 18억명이 기후변화의 강한 영향을 받은 폭염에 시달렸다. 특히 7월19일과 8월10·12일에는 전 세계 인구의 절반인 약 41억명이 기후전환지수 2레벨을 넘는 수준의 기후변화 영향을 받았다.
특히 아시아가 기후변화로 인한 타격이 컸다. 중앙아시아 내륙에 있는 타지키스탄은 여름철 평균 기온이 1990년대 대비 2.2도 높았고, 기후전환지수가 2레벨 이상인 날이 53일이었다. 일본도 여름철 평균 기온이 2.1도 상승했고, 61일간 기후전환지수 2레벨 이상을 기록했다.

Comments

최근글


새댓글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